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무원 합격 1년 만에 퇴사! MZ 공무원 급증

by 머니호두 2023. 10. 11.

 

 

공무원 퇴사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1년 미만 재직 후 퇴사하는 공무원 수가 늘어나고, 20대와 30대 퇴사자는 5년 만에 2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인사혁신처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낮은 보수, 경직된 공직문화, 그리고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으로 언급되었습니다.

 

이러한 퇴직률 증가는 조직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할 수 있으며, 변화와 젊은 공무원들이 공감할 수 있는 공직문화 조성이 필요합니다.

 

공무원

 

1. 공무원 퇴사율 증가 이유

 

  • 낮은 보수
    공무원의 연봉 수준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서 퇴직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무원은 안정성과 보안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서 고용의 안정성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지만, 젊은 세대들은 경제적인 안정보다는 더 높은 보상과 가치를 추구하기 때문에 낮은 보수로 인한 불만이 생길 수 있습니다.

  • 경직된 공직문화
    구식의 조직 문화와 체계가 변화에 부합하지 않아 젊은 세대의 공감을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유연하고 개방적인 조직 문화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와 대조적으로 전통적인 공공기관에서는 계층 구조와 업무 방식 등이 강조되는 경우가 많아 젊은 세대들에게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 업무 스트레스
    공무원들은 과도한 업무 부담과 압박, 업무 환경의 불편함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책 변동성이 크거나 급변하는 상황에서는 업무의 복잡성과 압박감이 더욱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직장 만족도를 저하시키고, 결국 퇴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기타 요인
    개인적인 가정 사정, 직장에서의 인간관계 문제, 직업 발전을 위한 다른 기회와 경로 등도 공무원 퇴사율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입니다.

 

★ 연도별 비교분석 ☆

  • 2018년: 재직기간 1년 미만 퇴직자 951명

  • 2019년: 재직기간 1년 미만 퇴직자 1769명

  • 2020년: 재직기간 1년 미만 퇴직자 1610명

  • 2021년: 재직기간 1년 미만 퇴직자 2723명 

  • 2022년: 재직기간 1년 미만 퇴직자 3123명 

2. 문제점

  • 저연차 직원과 2030 세대 직원들의 퇴사율이 증가하고 있어 조직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 구식의 공직문화와 업무 스트레스로 인해 젊은 세대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3. 정부의 지원 및 정책 조치

  • 보상 체계 개선
    공무원의 연봉 및 복리후생 혜택을 개선하여 경제적인 보상을 향상합니다. 이를 통해 공무원들의 경제적인 안정성을 높이고, 더 나은 보상을 받는다는 동기부여를 제공합니다.

  • 업무 환경 개선
    업무 부담 완화와 워라밸 프로그램 도입 등을 통해 공무원들의 업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장 만족도를 높입니다. 유연한 근로환경 조성과 업무의 합리화, 디지털화 등을 통해 업무 생산성과 질적인 측면에서 개선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조직 문화 변화
    구식의 경직된 조직 문화 대신 현대적이고 유연한 조직 문화로의 전환을 추진합니다. 젊은 세대들에게 적합한 조직 문화를 조성하고, 참여와 소통을 장려하여 공무원들의 참여 의식과 소속감을 높입니다.

  • 전문성 강화와 경력 개발 지원
    공무원들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경력 개발 기회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역량 개발 프로그램과 진로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무원들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적극적인 인사 관리
    인사혁신처나 관련 기관은 공무원들의 복리후생 및 근무환경 개선에 대한 조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퇴직률이 높은 부서나 분야에 대한 인력 보충 등의 조치를 취합니다.

마무리.

공무원 퇴직 증가는 낮은 보수와 경직된 공직문화, 그리고 업무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정책 조치가 필요합니다. 새로운 정부 출범으로 함께 변화에 부합하는 공감 가능한 공직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